택시가 최초로 LPG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경제적 필요성, 정책적 판단, 그리고 국내 연료 수급 상황 때문입니다.
1970~80년대 연료 공급 문제
1970년대 오일 쇼크로 인해 석유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휘발유와 경유는 주요 산업 파트와 일반 승용차용으로 배분되었지만 택시는 금액이 비싼 석유로는 감당이 안 됐습니다. 대중 교통의 일부로 여겨졌기 때문에 저렴한 대체 연료가 필요했고 그게 LPG입니다. 휘발유나 경유보다 가격이 저렴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국내에서도 안정적으로 공급이 가능해 대안으로 적합했죠.
정책적 개입을 한 정부
LPG는 국내 정유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산되던 연료입니다. 수요가 많지 않아 활용도가 낮았습니다. 그래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택시, 렌터카, 장애인 창량에 LPG 사용을 장려했습니다. 의무화하기도 했습니다. 또 택시는 앞서 언급했듯이 대중교통으로 여겨져 운행 비용을 줄여 요금을 안정화하려는 목적으로 LPG를 적극 도입했습니다.
환경 문제도 생각했어요
과거에도 도시 내 배출가스 문제가 심각해졌던 상황입니다. LPG는 휘발유나 경유에 비하면 비교적 깨끗한 연료로 인식됐죠. 이를 활용해 대기 오염을 줄여야 해서 LPG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경제적 부담 완화
아무래도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해야 했습니다. 택시는 오랜 시간 운행을 해야 했고, 연료비는 기사들의 수익과 연계가 되기 때문에 LPG의 저렴한 가격은 이를 완화하기에 충분한 연료였습니다.
엔진 내구성과 소음 감소 효과
마지막으로 LPG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은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됩니다. LPG는 연소 과정에서 엔진 내부에 잔여물을 적게 남깁니다. 많은 키로수를 기록한 LPG 차량이 아직도 돌아 다닐 수 있는 이유도 엔진 내구성이 좋기 때문인데요. 게다가 초기에 안전성 이슈가 아주 적습니다. 사고 위험이 낮아서 대중교통인 택시에 사용해도 좋은 연료인 셈이죠. 소음도 아주 적습니다.
'자동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츠의 새로운 도전, G580: 고급 오프로드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0) | 2024.05.02 |
---|---|
람보르기니 우르스 S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와 열기의 완벽한 조화 (0) | 2024.05.01 |
예산 내에서 가장 합리적인 중고차 선택은? (0) | 2024.01.12 |
중고차의 가격대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0) | 2024.01.10 |
중고차 구입하기 전 주의해야 할 부분 (0) | 2024.01.09 |